[2013 제8회 최치원신인문학상 당선작 / 전비담]
수상작|꽃의 체온 외 4편
꽃의 체온
겨우내 엠뷸런스가 울어서 그 병원에는
곧 떨어질 이름들만 피었다
영안실로 가는 침대의 난간을 움켜쥐고
절뚝이며 따라가는 얼굴처럼
하얗게 질려서
기어코 봄날 초입에
한주먹 틀어막은 울음이
툭. 떨어진다
이제는 저 혼자 복도를 걸어 나갈 수 없는 것들이
군데군데 멍이 들거나 구멍이 뚫린 채로
하나씩 호명될 때마다
한 줌의 시든 수의로 기록되는,
목련! 하고 부르면
뚝.
뚝.
한 움큼의 하얀 종말이 뛰어내릴 때
찬란하게 하얀 것들에서는
포르말린의 체온이 풍긴다
꽃,
하고 입술 오므리면
죽음,
하고 휘어진 복도를
힘없이 돌아 나오는 메아리
건물 뒤편에서
시신을 말리는 냉각팬이
쉴 새 없이 돌아간다
누가 저걸
죽은 꽃들의 누적된
향이 앓는 소리라 했나
목련 피는 소리 갸르릉거리는 밤에는
죽은 내 친구가 입 안 가득
덜 삭은 생을 물고 양치하는 소리 들리지
하얀 꽃색 버려두고
꽃향이 자꾸 내 뒤를 밟는 건
일찍 떠나 비릿해진
꽃의 체온 때문.
죽은 파도에 관한 에필로그
파도가 죽었다 상의 한 마디 없이
성급하게 죽은 파도는 흰 거품을 피우고
암청색 물고랑에 휘청거리다 바다가득 눕는다
바다는 파도가 누운 무덤이다
바다는 저만치 물러나 있고
하늘을 올려다보며 짐짓 딴전을 피운다
희미해져가기로 마음먹은 것은
심장을 아무리 펼쳐도 품을 수 없다
파도가 멈춰서 모든 미래가 유출되었으니
너무 중요한 허무는 모른 척하기로 한다
다만 다 닳지 못하고 죽은 것은 돌아와
그 무덤에 꽃을 피워야 한다
바다는 낙하하는 해로부터 붉은 꽃씨를 받아
조로한 파도의 무덤에 눈물을 뿌린다
꽃잎이 한 잎 한 잎 피어나는 건 혼자 죽은 파도의 의무거나
도착하기도 전에 해답이 된 미래의 기억놀이
푸른 녹이 슨 물결로
없는 파도의 붉은 말소리를 더듬는 무덤 위
잘 익은 산호꽃인 줄 알았는데
하얀 거품꽃이 피어 있다
바다는 최초부터 파도의 에필로그라는 것,
을 다 지나고서야 알게 되었다.
로드킬
그날 밤 한 대의 자동차가
하나의 비명과 충돌했다.
비명이 해처럼 부서졌다.
궤도를 일탈하지 않아도 궤도가 달아난 건
아무 짓도 안한 빨간 해에 눈이 멀어
길이 저 혼자 길을 잃었기 때문이다.
지상의 먼지들이 놀라서
양철처럼 가벼워져 튀어 올랐지만
먼지는 다만 먼지일 뿐
금방 가라앉는 유전자를 가진.
금방 사라질 것들은
좀 더 있다 사라질 것들에
재빠르게 밀려난다.
도처엔 맨홀, 부서진 피를
맨홀들이 끌어당긴다.
맨홀은 길 위가 부서뜨린
피의 후속조치.
그러므로 길 위의 일에 대해
길은 아무 짓 하지 않는다.
그날 밤 길 옆 아까시숲에서
목소리마다 가시울음
울던 새 한 마리
결국 자기 부리로 목을 찢고
숲의 경계를 넘었다.
자기 목에 부리를 박은 새는
짹 소리도 내지 못한다.
그날 허공에
한 뼘 새의 자리 지워졌을 뿐
길은 길끼리 아무 짓도 하지 않았다.
길 위의 것들은
붉은 해가 부서져도
그저 사소하게
농담 주고받듯
지나쳐가야 한다.
종소리
동그란 투명이 그늘을 깨우러 간다
잠자는 그늘을 깨우다가
그늘을 꽉 쥐고 있는 못에 긁혀
투명이 빨강처럼 쭈뼛 아프지
그것은 못과 한통속 된 삐죽한 그늘의 소행*
투명이 가끔 빗금 긋는
심장소리 내는 건 그 때문이야
한 가슴의 부서짐을 막을 수 있다면
속고 속고 또 속아도
말없이 부서지는
투명의 주소지는 유리의 영토
그 나라의 언어는
뾰족한 혀도 기꺼이 안아 품는
죽은 조개의 침묵
새의 부리가 유리의 나라를
터트릴 수 없는 까닭이야
후미진 골목 구멍 뚫린 바람벽도
동그랗게 채우는 투명은
바람벽의 땜장이
아무도 보지 못하는 곳
아무도 보여주지 않는 그곳
가장 높은 종탑 중심에서 돌아가는
커다란 유리알 거울
볼 줄 아는 눈만 보는
투명의 유일한 관객
단 하나를 위해
달려가 스스로 텀벙텀벙
허공으로 뛰어드는
동그란 제병(祭餠)들
*스톡홀름 증후군: 인질이 인질범에게 정신적으로 동화되는 심리적 현상.
플래시
꽃이 떨다가 뛰어내리자
캄캄하던 꽃의 살 속에
플래시가 터졌다
뛰어내려서야
환해지는 꽃의 살 속
사뿐히, 날아
그러쥐던 허공을 놓아버리자
꽃 속에서 숨죽이던 도마뱀이
붉게 흥건해졌다
그제야 만져보았다
이빨이 물컹해져버린
물,
비린 쇠냄새가 손가락 끝에 엉겨 붙는
빨간 울음소리는
혀를 빼문 채 고개를 누인 개처럼
경계선을 잃었으므로
울음소리는
이제 곧 팔레트에 옮겨질 것이고
진공의 큐브 속에서 굴절되겠지
램프가 되었다가
담요가 되었다가
빨간 모자가 되다가
쫓아갈 우주의 시간표보다
훨씬 먼저 변형되어
이상한 냄새를 활짝,
피울 것이다
[최치원 신인문학상 심사평]
응모작의 수준이 고르게 높았다. 최치원문학상이 신인 등용문으로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 시산맥 편집부에 의하면 총130명의 응모가 있었으며, 그 중 7명의 작품을 예심 통과작으로 결정하였다고 한다. 7명의 본심자는 남상진, 민경란, 전비담, 정명숙, 조희진, 최근희, 한인숙으로 다음 응모자의 작품들이 최종심에 올랐다.
한인숙의 시는 매력적인 잠언이 일품이다. 잠언은 흔히 속화되고 뻔한 교훈을 전달하고 생각의 빈한함을 숨기는 경우가 많은데 이 응모자의 잠언은 싱싱한 활어 같았다. 저 활달한 말에 오래 눈이 갔으나, 응모작의 수준이 고르지 않았다.
최근희의 비유를 구축하는 힘은 예사롭지 않았다. 많은 이들이 공들여 비유를 짓고는 스스로 그걸 무너뜨리곤 한다. 그런데 이 응모자는 그걸 탄탄한 구조로까지 끌고 가는 좋은 문장을 갖고 있다. 설명의 과도함만 제어한다면 곧 지면에서 만나게 될 것이다.
전비담의 시를 당선작으로 하는 데 쉽게 합의했다. 목련과 영안실을 연결 짓는 첫 시(「꽃의 체온」)의 서두부터 눈길을 확 잡아끈다. 무엇보다도 시가 자신의 전언을 강요하는 장르가 아니라, 사물의 전언에 귀 기울이는 장르라는 것을 이 응모자는 체득하고 있는 듯하다. 바로 그때서야 사물이 제 속을 열어 보이는 것이다. 오래도록 시를 쓰며 사물이 건네는 이야기를 독자에게 전했으면 한다. 축하드린다.
심사위원 : 문정희(시인) 이숭원(문학평론가) 권혁웅(시인 . 문학평론가)
'바람이 머물다 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의 산] 어디든 바다가 조망되는 부산의 산 5 (0) | 2013.09.29 |
---|---|
[전철로 가는 근교산] 지하철 중앙선 팔당역 예봉산(683.2m) (0) | 2013.09.27 |
"작가는 남의 영혼 훔치는 자 .. 고통 감내해야" (0) | 2013.08.31 |
울트라마라톤, 그들은 왜 달리나 "미친 짓 맞아요.. 허허허"참가자 81명 중 33명만 완주… 9월엔 강화~강릉 횡단 대회 열려 (0) | 2013.08.17 |
국악방송 특강 105회 '판소리를 보는 눈, 듣는 귀' (0) | 2013.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