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현대정치사 3

부천 현대정치사 7, 박정희 독재시기의 부천지역 정치3

https://www.bucheon21.com/77317 ≪부천시민신문≫ [연재] ‘야도(野都)’ 부천의 현대정치사(7)3선 개헌과 유신쿠데타 박정희와 공화당은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4.19를 촉발한 3.15 선거를 능가하는 부정선거로 개헌선을 넘는 압도적 의석을www.bucheon21.com부천지역 현대 정치사-박정희 독재시기의 부천 정치 3 3선개헌과 유신쿠데타박정희와 공화당은 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4.19를 촉발한 3.15 선거를 능가하는 부정선거로 개헌선을 넘는 압도적 의석을 확보하였다. 장기 집권을 저지하려는 야당과 시민사회의 강력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박정희와 공화당 정권은 사람들의 예상을 배반하지 않고 기어코 3선 개헌안을 날치기로 통과시켰다. 중과부적으로 3선 개헌을..

부천현대 정치사 6 박정희 독재 시기의 부천 지역 정치-2

부천현대정치사 2. 박정희 독재 시기의 부천 지역 정치② 3공화국의 등장군사쿠데타로 헌정을 파괴하고 정권을 차지한 박정희와 군부는 3년 가까운 군정기를 끝내고 제5차 헌법개정을 통해 민정으로 복귀했다. 61년 5.16 쿠데타 직후 제시한 정치 일정에서 조속한 민정 이양을 약속한 박정희는 여러 차례 민정 복귀와 일선 후퇴 약속을 번복하며 민정 이양 후에도 정권을 차지할 방안을 모색하였다. 국가재건최고회의라는 초법적 기구를 통한 통치가 3년 가까이 계속되자 여론의 반발과 미국 정부의 압력을 견디기 어려웠다. 1962년 12월 17일 최초의 국민투표를 거쳐 5차 헌법개정안, 제3공화국 헌법이 통과되어 12월 26일 공포되어 발효되었다. 이 헌법에 기하여 이듬해 1963년 10월 15일 실시된 제5대 대통령 선..

부천 현대정치사5 박정희 독재시기의 부천 지역 정치

부천현대정치사 2. 박정희 독재 시기의 부천 지역 정치① 사회갈등과 정치어떤 사회나 집단이든 갈등이 없는 곳은 없다. 갈등의 종류와 규모,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해당 사회 또는 집단의 성격에 따라 구체적 이해관계에 따른 갈등이거나 가치와 의견의 차이를 놓고 다투거나 간에 갈등이 없는 집단은 상상할 수 없다. 갈등을 해결하거나 해소하기 위해 정치와 권력이 작동하도록 나타났다고 보는 것이 올바른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갈등, 즉 구체적 이익이나 이해관계나 가치와 의견 차이로 발생하는 갈등을 어떻게 보고 접근하는가에 따라 정치 권력의 성격이 달라진다는 데 주목해야 한다. 과거 사회과학이 발달하기 전, 나라의 주권이 왕 한 사람에게 있다고 여겨지던 시대에는 왕을 제외한 나머지 신민(臣民)들은 모두 왕의 명령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