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고령화의 그늘, 세대 갈등
2030 vs 4050 ‘밥그릇 쟁탈전’ 서울신문 입력 2013.10.12 02:52[서울신문]취업 준비생 이모(28)씨는 지난달 기업 면접에서 불쾌한 경험을 했다. '취업을 위해 어떤 준비를 했느냐'는 40~50대 임원들의 질문에 이씨가 "전공 실력과 어학 능력을 키우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고 답변하자 면접관들이 "정말 여러 공부를 한 것이 맞느냐"며 한심한 듯 혀를 찼기 때문이다. 이씨는 "그분들이 대학을 다닌 1980년대는 경기가 좋아 우리 세대처럼 치열한 경쟁을 하지 않았던 것으로 안다"면서 "대학 1학년 때부터 치열하게 새벽에 학교에 나와 학점 관리와 어학 공부에 매진한 우리에 비해 인생을 편하게 산 것 아니냐"며 불편한 속마음을 드러냈다.
부모와 자식 세대의 정서적 충돌로만 여겨졌던 세대 갈등이 고령화 사회를 맞아 자원과 기회를 둘러싼 '밥그릇 쟁탈전'으로 번지고 있다. 1970~1980년대 고도 성장의 과실을 향유하던 기성세대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저성장과 고용 없는 성장의 시대에 들어와서도 기득권을 쥐고 미래 세대의 기회를 빼앗는 게 아니냐는 '2030세대'의 불만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함인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는 11일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한국 사회의 중요한 갈등의 축이 세대가 될 것으로 예견된다"면서 "사회적으로 제한된 파이를 얼마나 갖느냐를 놓고 투쟁하는 것이 세대 갈등의 본질"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정부의 기초연금과 국민연금 연계 정책에 따라 60대 이상과 20~30대의 갈등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지난 대선을 비롯해 선거 때마다 50대 이상의 표심을 얻기 위한 복지 정책을 남발하면서 갈등을 증폭시켰다는 지적도 나온다. 통계청에 따르면 생산가능인구(15~64세) 100명당 부양인구는 올해 16.7명에서 2018년 20명, 2030년 38.6명, 2040년 57.2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앞으로 젊은 층의 경제적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취업난과 사회 인식을 둘러싼 '486세대'와 20대의 갈등도 만만찮다. 최근 인터넷 포털사이트의 블로그와 게시판에는 '80년대 학번의 비밀' 또는 '486의 양심선언'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와 논란이 되고 있다. 요지는 "1980년대는 지금처럼 사교육과 입시 경쟁이 치열하지 않았고 청년 실업 문제도 심각하지 않았다. 486세대가 20대에게 '요즘 아이들은 정의감이 없다'고 말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것이다. 이 글은 20~30대 취업 준비생이 몰려 있는 인터넷 카페 등에서 조회 수 2000건 이상을 기록하는 등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정부의 60세 정년 연장과 관련해 50대와 20대의 인식 차도 세대 갈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지난달 발표한 '정년 연장과 기업 인사 체계에 대한 근로자 인식 조사'에 따르면 20대의 44.2%가 '정년 60세 법제화 이후 세대 갈등이 심화할 것'이라고 답했다. 50대 이상의 답변(16.1%)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함인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는 11일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한국 사회의 중요한 갈등의 축이 세대가 될 것으로 예견된다"면서 "사회적으로 제한된 파이를 얼마나 갖느냐를 놓고 투쟁하는 것이 세대 갈등의 본질"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정부의 기초연금과 국민연금 연계 정책에 따라 60대 이상과 20~30대의 갈등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지난 대선을 비롯해 선거 때마다 50대 이상의 표심을 얻기 위한 복지 정책을 남발하면서 갈등을 증폭시켰다는 지적도 나온다. 통계청에 따르면 생산가능인구(15~64세) 100명당 부양인구는 올해 16.7명에서 2018년 20명, 2030년 38.6명, 2040년 57.2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앞으로 젊은 층의 경제적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취업난과 사회 인식을 둘러싼 '486세대'와 20대의 갈등도 만만찮다. 최근 인터넷 포털사이트의 블로그와 게시판에는 '80년대 학번의 비밀' 또는 '486의 양심선언'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와 논란이 되고 있다. 요지는 "1980년대는 지금처럼 사교육과 입시 경쟁이 치열하지 않았고 청년 실업 문제도 심각하지 않았다. 486세대가 20대에게 '요즘 아이들은 정의감이 없다'고 말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것이다. 이 글은 20~30대 취업 준비생이 몰려 있는 인터넷 카페 등에서 조회 수 2000건 이상을 기록하는 등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정부의 60세 정년 연장과 관련해 50대와 20대의 인식 차도 세대 갈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지난달 발표한 '정년 연장과 기업 인사 체계에 대한 근로자 인식 조사'에 따르면 20대의 44.2%가 '정년 60세 법제화 이후 세대 갈등이 심화할 것'이라고 답했다. 50대 이상의 답변(16.1%)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더 나은 세계는 어떻게 가능한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분들은 왜 '전단지 할머니'가 됐을까 (0) | 2013.11.02 |
---|---|
미국에 없는 '폐지 줍는 노인' 한국에 왜 많나 (0) | 2013.10.15 |
“노동자·중산층의 분화 … 현대는 7계급 사회” (0) | 2013.04.05 |
직원 줄이고 독과점 늘리고… 대기업 ‘고용없는 성장’ 주도했다 (0) | 2013.04.04 |
노점상과 공생하던 골목상가, 왜 전쟁터 되었나 (0) | 201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