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89년 석탄합리화계획이 시행되면서 석탄산업은 대규모 구조조정에 들어갔다. 1988년 347개이던 탄광 중 93년말 이후 살아남은 탄광은 44개에 불과했다. 6만2천여명이던 광원도 94년말엔 1만5천여명으로 줄어들었다. 강원도 속초 태생이던 영화감독 박광수가 탄광촌을 배경으로 한 영화 <그들도 우리처럼>을 극장에 내건 게 이듬해인 1990년이다. 지금은 농업이 죽니 사니 하지만 1980년대에서 1990년대로 넘어오는 기간 그 몫은 석탄산업의 것이었다. 1980년 4월 21일부터 24일까지 강원 정선군 사북읍에서 벌어진 '사북사태'는 그런 갈등의 시발점이었다. 어용노조와 임금 소폭 인상에 대한 항의로 일으킨 이 사태에서 경찰관 1명이 숨지고 160여명의 민간인과 경찰이 부상을 당했다. 당시 계엄사령부는 관련 인물 31명을 구속하고, 50명을 불구속 기소하는 등 총 81명을 군법회의에 넘겼다. 흔히 '막장인생'이라는 말로 표현되듯 이들은 도저히 물러설 곳이 없는 삶을 살았다. "스물한 살 때부터 27년째 광산 일을 해온 중앙개발 광원 김정경씨의 얘기는 그런 처지를 잘 대변해 주고 있다. 배운 기술이라고는 땅 파는 것밖에 없어 도시로 나가 날품이라도 팔아보려 해도 당장 방 한 칸 얻을 돈이 없습니다. 이제 어디로 가서 어떻게 먹고 살란 말입니까." - 한겨레신문(1994년 12월31일) 불과 10여년 전 일이다. 하지만 벌써 탄광산업은 추억이 됐다. 우리나라에 남은 연탄공장 몇 개, 폐철로를 활용한 관광열차 등이 가끔씩 뉴스가 될 뿐이다. 그 와중에 얼마 전 큰 칼을 목에 쓰고 죽비로 자신을 수백대씩 때리는 시위를 하는 전 강원랜드 복지재단 상임이사 성희직(50)씨의 사연이 뉴스면을 장식해, 그 때를 떠올리게 만들었다. 성씨는 광부 출신으로 3선의 강원도의원(민중당)을 지냈다. 1991년 당시 지자체 선거에서 민중당 출신으로 유일하게 광역의원을 지내 언론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던 기억이 난다. 80년대에서부터 90년대 그렇게 강원도 탄광지역은 진보세력의 주요 거점이었다. 내리막 석탄사업, '지키느냐' '활용하느냐'
할아버지가 아버지에게, 아버지가 다시 아들에게 곡괭이를 쥐어주며 석탄산업을 숙명이라 생각하며 일해 온 이들에게 석탄산업 폐쇄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다. 그러니 이 지역에서 일하다 이미 석탄산업은 내리막길이라고 생각하고, 살 길을 찾아 떠난 뒤, 하와이안센터라는 구상을 갖고 다시 찾아온 요시모토는 지역민들에게 배신자다. 그가 데리고 온 하와이안댄서 강사 도모카도 지역민들에게 망측한 존재일 뿐이다. 주민들은 하와이안 댄서가 벌거벗고 추는 스트립 댄서나 마찬가지라 생각한다. 요시모토의 구상은 당연히 벽에 부닥칠 수밖에 없다. 책에서 모든 어른들은 선탄산업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생각은 책이 끝날 때까지 변함이 없다. 그런데 그러한 생각이 확고한 광부 요지로가 하와이안 댄서 강사 마도카를 사랑한다. 광부의 딸인 사나에는 이 지긋지긋한 삶을 벗어나고 싶어 하고, 기미코는 사나에의 가장 절친한 친구다. 이 중 가족을 부양하며 학교조차 다닐 수 없었던 사나에는 하와이안 댄서에 가장 큰 매력을 느낀다. "일단 손톱에 석탄이 들어가면 아무리 씻어도 안 지워져. 비누로 씻어도 소용없어. 이런 손을 가진 열여덟 살짜리가 세상에 어디 있겠니?…이 기회를 잡지 않으면 죽을 때까지 여기서 벗어나지 못할 거야." 누구는 전통을 유지하고자 하고, 누구는 새로운 삶을 꿈꾼다. 결국은 삶에 관한 이야기다. 이 책이 던지는 것은 화두는 '어떠한 삶이냐'다. 또한 이 책은 전통과 현대문명의 충돌과 조화를 다루면서, 여성의 숙명과 진보를 다룬다. 이 점에서 책에서 가장 주목해서 봐야 할 인물은 탄광을 지키는데 있어선 가장 강경파이면서 여자의 숙명을 말없이 받아들이는 지요의 행동이다.
또 하나, 책엔 '프로'에 대해 논쟁하는 대목이 나온다. 탄광작업 도중 한 댄서의 아버지가 갱이 무너지면서 돌아가시는데, 그 날은 중요한 공연이 있는 날이다. 과연 '프로'라면 공연을 그만둬야 하는가, 웃음을 흘리면서 공연을 마무리해야 하는가. 1차산업인 석탄산업에선 필요 없었던 이 질문이 하와이안센터로 상징되는 서비스산업에선 필요하다. 그래서 과연 전통과 현대는 어떻게 결별하고 손을 맞잡았는지 궁금했다. 새로운 전통을 만들어야 했던 그 용감하고 어린 주인공들은 과연 그 뒤 어떻게 됐을까. 다행히 지은이는 독자의 그런 마음을 안 모양이다. "기미코는 조반하와이안센터의 대성공으로 도쿄 연예계로부터 수많은 제의를 받았다. 그러나 그 제의를 모두 거절하고 자신이 자란 토호쿠의 하와이에서 춤을 추다가 서른에 사랑하는 남자와 결혼, 현재는 후학을 가르치고 있다. 기미코의 오빠 요지로는 조반하와이안센터가 문을 연 10년 뒤인 1976년, 조반 탄광의 마지막 갱이 폐쇄될 때까지 자긍심을 가지고 광부로 계속 일했다. 그리고 마도카는 하와이안센터의 개장 이후 35년 동안, 이 도호쿠에서 댄스 교사를 계속하며 일흔을 넘긴 지금도 훌라댄스의 아름다움을 세상에 전하고 있다. 1976년, 탄광은 명실상부한 '하와이'가 되었다" - 에필로그 |
|
자료출처 : http://www.ohmynews.com/articleview/article_view.asp?at_code=404450&portal=portal
출처 : 일본연예소식
글쓴이 : 시니 원글보기
메모 :
'사북으로 돌아가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탄광촌을 떠돌며 자란 유년시절 (0) | 2010.02.01 |
---|---|
2009년 12월 18일 황인오 최후진술 (0) | 2009.12.18 |
'사북항쟁' 27주년, 이젠 화해만 남았다 (0) | 2009.11.03 |
1.000일을 맞으며, 화절령과 운락국민학교 (0) | 2008.12.19 |
11월 11일 사북기행 (0) | 2008.11.12 |